KCT (Klaytn Compatible Token) 클레이튼의 호환 토큰을 뜻합니다.
대표적인 IT 회사인 카카오에서 클레이튼 블록체인을 탄생시켰습니다.
특정 기술을 구현한 특별한 타입의 클레이튼 스마트 컨트랙트입니다.
클레이튼의 토큰 표준은 KIP-7 과 KIP-17로 두 가지가 정의되어 있습니다.
오픈 소스 퍼블릭 블록체인 클레이튼은 모든 커뮤니티의 참여와 기여를 존중하는 신뢰 레이어로 구상되었습니다.
확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고 커뮤니티를 조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KIP-7
이더리움의 ERC-20에서 파생되었으며 클레이튼의 대체할 수 있는 토큰에 대한 표준입니다. 대체할 수 있는 토큰은 각 토큰 단위가 동일한 가치를 지니며 가용 토큰끼리의 호환이 가능합니다.
모든 달러 지폐가 동일하게 1달러 가치인 것과 같습니다.
대부분의 경우 대체 가능성은 필수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토큰 중 높은 비율이 대체할 수 있는 토큰입니다.
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클레이튼에 모든 토큰이 지갑에서 탈중앙거래소에 이르기까지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사용 될 수 있습니다.
KIP-7 은 ERC-20보다 많은 선택 가능한 기능들을 지원합니다.
(예시 - burn and pause extension , mint )
모든 토큰의 작업은 이벤트 로그별 추적을 거쳐야 합니다.
송금 작업은 무조건 관련된 작업에서 발생 되어야 합니다.
각 그룹에 KIP-13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야 합니다.
몇 가지 클레이튼 관련 용어
엔드포인트 노드 (EN): 클레이튼 네트워크에 대한 JSON-RPC API 요청을 처리하는 노드입니다. 엔드포인트 노드는 합의에 참여하지 않습니다.
KLAY: 클레이튼 네이티브(native) 코인.
caver-JS: 클레이튼 JSON-RPC API의 자바스크립트 구현체
Baobab: 클레이튼 테스트넷
Cypress: 클레이튼 메인넷
KIP-17
대체 불가능한 토큰(NFT)은 고유한 자산을 나타내는 토큰 유형입니다.
ERC-721에서 파생되었습니다.
대체 불가능하다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모든 토큰은 고유하며 토큰 간의 호환이 불가능합니다.
KIP-17 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wallet , broker, auction 애플리케이션들은 클레이튼에 NFT와 함께 작동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NFT는 디지털 예술, 게임 아이템 등 모든 종류의 고유한 자산을 나타내며, 사람들 사이에서 거래되도록 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클레이튼은 KIP-7과 KIP-17을 토큰 표준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ERC-20과 ERC-721 보다는 사용 대체 가능 및 대체 불가 토큰 컨트랙트 구현을 권장합니다.
KIP-7과 KIP-17 은 ERC-20과 ERC-721을 기반으로 하지만 클레이튼에 최적화되어 클레이튼 에코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더 적합합니다.
클레이튼 네트워크가 ERC-20과 ERC-721을 지원하긴 하지만 클레이튼 에코시스템에 있는 다양한 도구들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클레이튼은 엔터프라이즈급 안정성을 목표로 고도로 최적화된 퍼블릭 블록체인 입니다.
주요 디자인 목표
- 실제 사용사례에서 문제없는 높은 TPS (Transaction Per Second)
- 산업계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 촉진
- 사용자의 진입장벽 낮춤
- 즉각적인 완결성
-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비용 절감
클레이튼은 2019년 다음과 같은 사양으로 메인넷인 Cypress를 출시하였습니다.
- 초당 4000건의 트랜잭션
메인체인은 초당 블록 생성 시간과 즉각적인 트랜잭션 완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.
- 이더리움 1/10 수준의 낮은 가스비
사용자가 기존시스템에 비해 높은 트랜잭션 수수료를 부담해서는 안 됩니다.
수수료는 안정적이어야 하며, 주변 요인이 아니라 트랜잭션의 복잡성 자체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.
- 세계적으로 평판이 높은 19개 기업이 모여 최초의 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을 결성하고 컨센서스 노드 운영을 시작
클레이튼 거버넌스 카운슬에 기존 전통적 기업들에 더하여 DAO 및 빌더들을 영입함으로써 클레이튼의 거버넌스 구조를 수백개의 주체들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재정립할 가능성이 열립니다.
- 1초의 블록 생성 및 확인 시간
클레이튼은 역할 및 목적에 따라 세 개의 논리적인 서브 네트워크로 분할 할 수 있습니다.
- 엔드포인트 노드 네트워크 (ENN)
엔드포인트 노드 네트워크는 주로 트랜잭션을 생성하고, RPC API 요청을 처리합니다.
서비스 체인의 데이트 요청을 처리하는 노드로 구성됩니다.
- 코어 셀 네트워크 (CCN)
코어 셀 네트워크는 엔드포인트 노드를 통하여 제출된 트랜잭션을 확인하고 실행하는 코어 셀로 구성됩니다.
네트워크 전체에서 블록을 생성하고 전파합니다.
- 서비스 체인 네트워크 (SCN)
서비스 체인 네트워크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블록체인들로 구성된 서브 네트워크입니다.
서비스 체인은 엔드포인트 노드를 통하여 메인체인에 연결됩니다.
코어 셀 네트워크와 엔드포인트 노드 네트워크는 클레이튼 메인체인과 메인넷을 구성합니다.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은 클레이튼 메인체인에서 실행하거나 자체적으로 블록체인인 서비스 체인에서 작동할 수 있습니다.
높은 TPS와 설정 변경이 가능한 네트워크 정책을 가진 실행환경을 원한다면 서비스 체인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
'블록체인 개발할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마트 계약 , 스마트 컨트랙트? 개요 (1) | 2022.07.12 |
---|---|
클레이튼의 계정 유형 알아보기 (2) | 2022.07.08 |
ERC20 장단점, 선택적규칙 다른 이더리움 표준 (2) | 2022.07.05 |
ERC-20 토큰이란? (2) | 2022.07.01 |
체인 알고리즘 방식의 문제점과 그에 대안 (0) | 2022.06.29 |
댓글